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잡한 퇴직소득세 계산하는 방법

by ★뚱딴지★ 2025. 2. 14.
반응형

 

 

 

 

퇴직소득세 계산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와 퇴직급여액에 따라 복잡하게 계산되는 세금입니다. 퇴직소득세는 퇴직소득금액에서 근속연수 공제를 적용하고, 그 후에 누진세율을 적용해 계산하는 방식인데요. 근무기간과 퇴직급여액에 따라 적용하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복잡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 (근속연수 공제 포함)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에 따른 공제를 먼저 적용한 후, 과세표준을 나누어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퇴직소득세 계산은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구하게 됩니다.

퇴직소득금액 공식 (근속연수 공제 적용)

 

퇴직소득금액 = 퇴직급여액 - 근속연수 공제

 

근속연수 공제 (2024년 기준)

근속연수 공제 금액
5년 이하 100만 원 × 근속연수
5년 초과 10년 이하 500만 원 + 200만 원 × (근속연수 - 5)
10년 초과 20년 이하 1,500만 원 + 250만 원 × (근속연수 - 10)
20년 초과 4,000만 원 + 300만 원 × (근속연수 - 20)

 

퇴직소득세 계산 공식

 

퇴직소득세 =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 × 12) × 세율 - 누진공제] × 근속연수 ÷ 12

 

핵심 포인트

  • 근속연수가 길수록 공제액이 커져 세금 부담이 줄어듦
  • 연분연승 방식으로 계산하여 세금 부담을 완화

 

 

 

 

 

 

 

2. 퇴직소득세 누진세율표 (2024년 기준)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 원 이하 6% -
5,000만 원 이하 15% 126만 원
8,800만 원 이하 24% 576만 원
1 5,000만 원 이하 35% 1,544만 원
3억 원 이하 38% 1,994만 원
5억 원 이하 40% 2,594만 원
10억 원 이하 42% 3,594만 원
10억 원 초과 45% 6,594만 원

 

3. 퇴직소득세 계산 예제 (근속연수 공제 포함)

 

🪄예제: 퇴직급여액 5천만 원, 근속연수 10

 

1) 퇴직소득금액 계산

  • 근속연수 공제 적용: 500만 원 + 200만 원 × (10 - 5) = 1,500만 원
  • 퇴직소득금액 = 5천만 원 - 1,500만 원 = 3,500만 원

2) 과세표준 계산 (환산급여)

  • (3,500만 원 ÷ 10년) × 12 = 4,200만 원

3) 산출세액 계산

  • 세율 15% 적용 (5,000만 원 이하 구간)
  • (4,200만 원 × 15%) - 126만 원 = 504만 원

4) 최종 납부 세금

  • (504만 원 × 10년) ÷ 12 = 420만 원

5) 결론: 퇴직급여액 5천만 원을 받을 경우 세금은 420만 원 납부!

또다른 예시로 퇴직급여 1억원, 근속연수 20년 사례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퇴직소득세 계산
퇴직소득세 계산
출처 : 국세청

주요 포인트

  • 근속연수 10년으로 중간 정도의 공제를 받았습니다.
  • 환산급여 방식으로 계산하여 세금 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 최종 세금은 퇴직급여액의 8.4%에 해당합니다.

퇴직소득액에 대한 세액계산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국세청 > 퇴직소득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퇴직소득세 줄이는 방법 (절세 전략)

퇴직소득세를 줄이는 BEST 3 방법

  1. 퇴직금을 IRP(개인형 퇴직연금)로 이체하여 연금으로 받기
  2. 근속연수를 최대한 유지하기
  3. 퇴직소득 합산 특례 활용

5. 퇴직소득세 핵심 정리

  •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 공제 후 누진세율 적용 (6%~45%)
  • 근속연수가 길수록 세금 부담이 줄어든다!
  • IRP(퇴직연금) 계좌로 이체하면 세금 감면 효과 UP
  • 퇴직금을 한 번에 받으면 세금 즉시 부과, 연금으로 받으면 절세 가능!
  • 퇴직소득 합산 특례를 활용하면 추가 절세 가능

6. 내 퇴직연금, 예금자 보호 될까?

 

퇴직연금이 예금자 보호가 될지, 된다면 어디까지 될지 알아보고 안전하게 굴리는 방법 역시 알 필요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과 절세 전략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퇴직을 앞두고 있다면, 본인의 근속연수와 예상 퇴직급여액을 바탕으로 세금 계산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퇴직금 수령 방법(일시금 vs. 연금)에 따라 세금 차이가 크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IRP 활용, 퇴직소득 합산 특례 등의 제도를 잘 활용하면 상당한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복잡한 계산과 다양한 옵션들로 인해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퇴직 후의 안정적인 재정 관리를 위해, 퇴직소득세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